상단영역

본문영역

시민톡톡

안개 속 헤매는 청춘을 비추는 등대

광명 기형도 문학관_ '스물아홉의 불꽃' 안개 속 헤매는 청춘을 비추는 등대

  • 기자명 공지영 기자
  • 승인 : 2018.06.07 10:22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기형도문학관 밖에 설치된 기형도의 삶과 작품을 기리는 조형물. /공지영기자 jyg@kyeongin.com
기형도문학관 밖에 설치된 기형도의 삶과 작품을 기리는 조형물. /공지영기자 jyg@kyeongin.com

 

작년말 유년 보낸 광명에 추모공간
삶의 궤적 따라 공들인 전시실 구성
대표작 미디어아트·일상적 유품들
시인의 추억과 만나며 인생 돌아봐

 

 

'당신의 청춘은 어떤 모습인가요'

누군가는 청춘이 푸르다 찬양하고, 또 누군가는 아프다고 아우성이다. 청춘이 내포한 삶의 의미가 결코 가볍지 않아서 벌어진 촌극이다. 하지만 분명한 건 지나고 나서야 비로소 깨닫는다.  

그 시간이 얼마나 소중했는지. 기형도는 청춘의 시간에 머무르는 이다. 적어도 우리의 기억 속에서 그는 영원히 '청춘'의 아이콘이다.  

찬란했던 그 스물 아홉 해의 시간은 어땠을까. 그의 청춘을 군더더기 없이 담아낸 공간을 방문했다. 시인이 유년을 보낸 광명에 그의 공간이 문을 열었다.  



명 기형도문학관은 지난해 11월 개관했다. 군데군데 아직 새 것의 티를 벗지 못했지만 그 안의 내용을 살펴보면 방문하는 이가 기형도 시인을 충분히 추억할 수 있게 조성됐다. 

문학관은 시인을 추억하는 전시실에 많은 공을 들였다. 전시실은 기형도의 시간을 따라간다. 이야기 하나, 둘, 셋으로 나뉜 공간은 좁은 골목길을 걷는 유년의 기억을 떠오르게 한다.  

첫 이야기는 그의 유년시절이다. '유년의 윗목'이라는 첫 방의 이름도 그의 시 안에서 따왔다. 이 공간은 그의 시 중 '겨울 판화'시리즈와 연결됐다. 유년 시절, 그의 성실함을 묻어나는 상장과 체력검사표, 필기노트 등 유품이 그의 시와 나란히 전시됐다.  

 

 

 

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

잘 있거라, 짧았던 밤들아

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

···

잘 있거라,

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

···

 

 

'엄마 걱정' '나리나리 개나리' 등 이 곳에서 만난 그의 시는 유독 시린 추위의 겨울에 가깝다. 아버지가 갑자기 쓰러지고, 가세가 기울면서 엄마는 열무를 이고 시장에 나섰다.

누이들은 공장에 나가 돈을 벌여야했고 불행이 겹쳐 손 위 누이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. 어렸을 때부터 시를 습작했다는 그는 어쩌면 시를 쓰지 않으면 그 시절을 견디지 못했을지 모르겠다.

유년의 골목을 돌아 나오면, 안개의 강이 눈 앞에 펼쳐진다. 그에게 '시인'이라는 짤막한 이름표 하나를 더해준 시 '안개'가 미디어로 재현됐다. 짙은 회색의 화면 안에 '안개'의 시어들이 사라졌다 나타나길 반복한다.

관객의 발 밑으로 강물처럼 시가 흘러가고, 동시에 시를 읽어 내려가는 남자와 여자의 목소리가 귀를 자극한다. 시각과 청각으로 그의 시를 만끽하고 감정을 이해하는 공간이다.

 


두번째 이야기 방은 그 인생에서 가장 빛났던 시기라 불린다. 연세대 숲길 '백양'의 이름을 따 '은백양의 숲'으로 지었다. 그는 대학에 들어가면서부터 시인이 되길 갈망했다.

끊임없이 시를 썼고 연구했다. 이 공간은 시인이 되고자 노력했던 그의 흔적을 자세히 볼 수 있다. 연세문학회 친구들과 습작시를 평론하고 함께 고민하기도 했고, 그가 가장 자랑스러워 했다던 '윤동주 문학상'도 전시됐다.

 

 

 

기형도문학관 내부 모습.
기형도문학관 내부 모습.

 

 

마지막 이야기 방은 '저녁 정거장'이다. 이 곳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패와 그가 입었던 양복, 중앙일보 문화부 기자로 활동하며 쓴 글 등 그의 마지막 시간을 살펴보는 유품들이 정리됐다.

전시실 한 편에 그가 20대 어딘가에 머물렀을 법한 공간이 조성됐는데, 그의 사후에 현대시세계를 통해 발표된 시 '빈집'이 가득 채운다.  

'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/ 잘 있거라, 짧았던 밤들아'로 시작되는 시는 시인 특유의 정서를 물씬 풍기는 걸작이다. 어두운 빈 방에 홀로 서 그의 방에 실존했던, 이제는 멈춰버린 시계와 어슴프레 비추는 창문을 사이로 시 '빈집'을 읽고 느낄 수 있다. 

 

기형도 문학관을 꼼꼼하게 돌아본 이라면 시인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. 시인의 가족들과 문학회,직장 동료 등 지인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기형도를 끄집어 내는 일에 정성을 다했기 때문이다.  


문학관 곳곳에 기형도의 시를 만끽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뒀고, 그 아이디어가 요샛말로 꽤 신박하다. 관람객이 적극적으로 기형도를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해 '청춘'의 감각도 물씬 배어난다.   

 

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,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. 상업적 이용이 금지된 공공저작물이므로 영리행위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련된 행위를 위하여 이용될 수 없습니다. 공공저작물의 변경이 금지 됩니다. 또한 내용상의 변경 뿐만 아니라 형식의 변경과 원저작물을 번역,편곡,각색,영상제작 등을 위해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하는 것도 금지 대상 행위에 포함됩니다.

저작권자 © 광명시 뉴스포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제1유형:출처표시 위 기사는 "공공누리"제1유형:출처표시  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.

개의 댓글

0 / 400
댓글 정렬
BEST댓글
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.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수정
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.
/ 400

내 댓글 모음